카니비루(カニビル)

 

3~4월은 대게 살이 일 년 가장 많이 찌는 철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함께 대게를 가장 많이 소비하는 나라 중 하나이죠. 그런데 대게에 붙은 '이것'에 대해서는 관련 자료를 찾아보기가 어렵습니다. 대게 산지로 유명한 영덕군청도 대게에 관한 이야기는 있었지, 우리가 대게를 구입할 때마다 접하는 '이것'에 대한 이야기는 쏙 빠져있습니다. 대게에 붙은 '이것'은 무엇일까요?

 

 

<사진 1> 게 거머리 알이 부착된 국산 대게

 

수조에 담긴 대게를 자세히 보면, 등딱지와 다리에 시커먼 알 같은 것이 붙어 있음을 종종 봅니다. 저것의 이름은

 

'카니비루(カニビル)'

 

 

'카니(カニ)'는 게를 의미, '비루(ビル)'는 빌딩을 의미하나 거머리를 뜻하는 '히루(ヒル)'가 탁음이 되면서 카니비루로 불려진 것.(이라고 댓글에서 알려주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직은 적절한 우리식 명칭이 없는데요. 굳이 우리 식으로 부르자면 '게 거머리의 알' 정도. 즉, 환형동물과에 속한 바다 거머리의 알입니다. 우선 게 거머리는 해양 생물입니다. 가자미 같은 헤엄 속도가 느린 어류에 붙어 피를 빨아먹는 기생 생물이죠. 은 단단한 바위에 부착식으로 낳는데 주변에 바위가 없고 진흙과 모래로 이뤄진 곳이라면 대게 등껍질에 달라붙어 알을 낳습니다.

 

 

<사진 2> 게 거머리 알이 없는 국산 대게

 

그래서 진흙이나 모래 환경에서 잡힌 대게는 <사진 1>과 같이 게 거머리 알이 많이 붙어 있고, 바위 등 암초 지대에 서식하다 잡힌 대게는 <사진 2>처럼 알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이렇듯 같은 동해에 서식하는 대게라도 물밑 지형이 진흙인지 바위인지에 따라 알의 부착 여부는 달라집니다.

 

알은 일정 수온이 되었을 때 부화합니다. 어린 게 거머리가(반투명한 실지렁이 모습) 태어나는 즉시, 등껍질에서 떨어져 나가 부착할 어류를 찾아다닙니다. 그런 이유로 게 거머리는 대게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항간에 떠도는 소문인 "게 거머리가 대게에 붙어 피를 빨아먹거나, 심지어 등껍질을 파고들어 기생한다."는 이야기는 사실이 아닙니다.

 

어류에 붙어 피를 빨아먹고 자란 게 거머리는 산란기 때 숙주에서 떨어져 나와 바위나 게 껍데기, 혹은 골뱅이 같은 껍질이 단단한 생물에 검은색 알을 붙입니다. 게 거머리는 그렇게 번식함으로써 자손을 넓은 지역으로 퍼트리는 것이죠. 거머리 알이 꽃씨라면, 대게는 나비나 벌과 같은 역할인 셈입니다.  

 

 

<사진 3> 러시아산 대게

 

대게는 삼면인 한반도에서 유일하게 동해에서만 서식합니다. 진흙이든 모래든 바위든 가리지 않고 서식하나 최소 수심 150m 이하인 깊은 바다에서만 서식하며, 물이 차가워야 하므로 국산 대게라고 한다면 전부 동해에서 잡힌 겁니다. 주요 산지로는 울진과 후포, 영덕이 있습니다.

 

지구상에서 매우 높은 위도에서 잡힌 대게는 주로 러시아와 알래스카, 노르웨이산으로 수입됩니다. 수입산 대게를 '스노우 크랩'이라 부르는데 국내에서는 주로 동해시 인근에 집하장을 두고 있습니다. <사진 3>은 러시아산 대게로 게 거머리 알의 부착률은 국산보다 떨어지는 편입니다. (그래도 종종 붙어 나오는 것을 보았습니다.) 국산 대게의 경우도 바위 지역에 사는 개체는 게 거머리 알이 없으니 알의 부착 여부로 국산과 러시아산을 구별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다만, 러시아산 대게는 국산 대게보다 클 때가 많고, 따개비 같은 부착생물이 많이 붙어 있어 전반적으로 거칠고 어두운 느낌을 줍니다.

 

 

<사진 4> 대게 중 최고 상품성을 가진 박달대게

 

#. 게 거머리 알이 많으면 대게 맛도 좋을까?

<사진 4>는 대게 중에서도 수명이 14년 이상 된 박달대게입니다. 대게 수명은 약 15~17년으로 추정됩니다. 평생 탈피(허물)를 십여 차례 정도 하면서 몸집도 불리고 상품성도 높입니다. 그러니 수명이 14년 이상 된 대게는 크기도 크기지만, 살이 꽉 차고 맛도 들어 있는 최상품에 속하겠지요.

 

보시다시피 등껍질에는 게 거머리 알이 제법 많이 붙어 있습니다. 생각해 보면 그렇습니다. 탈피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대게에는 게 거머리 알이 많이 부착되지 않았을 겁니다. 뒤집어 생각해 보면, 게 거머리 알이 많이 붙은 대게일수록 탈피한 지 오래돼 살도 많이 차고 맛도 있다는 겁니다.

 

그러나 이 같은 사실은 반은 맞고 반은 틀립니다. 대게의 탈피 시기는 다소 복잡한데 대체로 평균을 산출해 보면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행해집니다. 대게 금어기는 6월부터 11월까지입니다. 이 시기에는 대게를 잡을 수도, 상품으로 팔 수도 없습니다. (불법 판매는 제외) 우리가 시장에서 산 대게를 볼 수 있는 기간은 주로 12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입니다.

 

앞서 대게는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탈피를 진행한다고 썼습니다. 그때부터 금어기가 풀리는 12월 1일까지는 최대 2~3달가량 시간이 있습니다. 2~3달이면 생체 주기가 빠른  게 거머리가 부착에서 부화까지 하고도 남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게 거머리 알이 없다고 해서 탈피한 지 얼마 안 된 물렁게는 아니라는 것.

 

반대로 게 거머리 알이 많이 붙어 있으면, 적어도 탈피한 지 일정 시간은 지났을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게 거머리가 대게 껍데기에 알을 붙이는 데 몇 개월이 걸리는 것도 아닐 테니 알의 부착 여부로만 대게 품질을 가늠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죠 

 

 

대게(이제 맛있게 먹기만 하면 된다.)

 

거머리는 그저 거머리일 뿐. 그 거머리가 대게 맛을 특별하게 만들지는 않는다는 것. 대게, 너무 맛있어서 손가락 쪽쪽 빨아가며 드시지 않나요? 보시다시피 대게를 찌면 게 거머리 알은 녹습니다. 어쩌면 적든 많든 그 양분이 우리 입으로 들어가겠지요? ^_^

 

#. 관련글 보기

킹크랩 블루와 레드의 차이점

마트에서 냉동 새우 잘 고르는 방법

붉은색 꽃게를 먹으면 안 되는 이유

중하가 크면 대하(大蝦)가 될까?

'꽃게'에 붙어 사는 수상한 벌레, 기생충일까?

 

정기구독자를 위한 즐겨찾기+

 

Posted by ★입질의추억★
:

카테고리

전체보기 (3980)
유튜브(입질의추억tv) (588)
수산물 (635)
조행기 (486)
낚시팁 (322)
꾼의 레시피 (238)
생활 정보 (743)
여행 (426)
월간지 칼럼 (484)
모집 공고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04-16 22:55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