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올드보이’에서 최민식 씨가 꿈틀거린 무언가를 통째로 먹는 장면에 전 세계가 경악했습니다. 그것은 다름 아닌 ‘낙지’. 낙지는 우리에게 있어서 오징어 다음으로 친숙한 해산물이자 스테미나 식품입니다. 그런 낙지에도 말 못할 사연이 있는데요. 평소 궁금했던 낙지 이야기를 소개합니다. 

 

 

낙지

#. 낙지 머리에 중금속은 사실일까? 
2010년 9월에 있었던 일입니다. 서울시는 낙지에서 중금속의 일종인 카드뮴이 다량 검출됐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를 두고 서울시와 어민이 적잖은 갈등을 빚었습니다. 서울시장의 사과와 재검사를 촉구하며 일단락 되었지만, 사실 낙지에서의 중금속 문제는 지금도 여전한 논쟁거리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낙지 내장에는 일정량의 중금속이 있습니다. 낙지 뿐 아니라 이 세상 모든 수산물에는 중금속 검출되는데 문제는 그 양이 우리 인체에 해를 끼치느냐입니다. 당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적어도 국산 낙지는 납과 카드뮴 함류량이 각각 0~0.528ppm과 0~0.711ppm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준치인 2ppm보다 낮은 수치로 우리 몸에 위해가 우려되는 수준은 아닌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번 조사는 낙지뿐 아니라 내장을 먹는 식문화 특성상 내장에 중금속 우려가 있는 대게, 홍게, 꽃게, 문어, 주꾸미를 모두 조사한 결과이며, 대체로 기준치 이하여서 크게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다만, 중금속 함류량은 우리가 주로 먹는 살(근육)과 내장을 모두 포함하여 평균치를 낸 것입니다. 이 평균치를 올리는 주범이 내장에 있다는 사실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수산물에서 발견되는 중금속(납, 카드뮴)은 전적으로 산업발달에 의해 생긴 결과입니다.

 

다시 말해, 산업이 발달하기 전인 20세기 이전에서는 자연 발생적인 요소를 감안하더라도 그 수치가 지금보다는 매우 낮았다는 것입니다. 산업 혁명이후 강과 바다 곳곳엔 공장이 들어섰고, 그곳에서 배출해 내는 각종 오염물질과 오폐수가 인근의 바다를 오염시킵니다.

 

해류는 그 오염물을 지구 곳곳으로 나르며, 주로 먹이사슬 최하위에 있는 생물을 오염시키는데 그것을 먹고 자란 갑각류나 어류가 체내에 축적하게 되고, 이러한 축적률은 참치나 상어 같은 최상위 포식자에서 정점에 다다릅니다.

 

결과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모든 수산물은 중금속 검사를 받으며 기준치 이하에서 판매되고 있지만, 일부 품목인 참치, 상어, 고래고기를 비롯해 우리가 즐겨 먹는 생선과 갑각류의 내장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중금속이 축적돼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또한 기준치 이하라곤 하나, 평소 이들 수산물을 ‘상시 즐겨먹는 식습관’이라면 개선할 여지가 있다는 것입니다.

 

식약처는 이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낙지, 문어, 꽃게, 대게의 살과 내장은 안전하다고 밝혔습니다. 여기에 한 가지를 덧붙이자면, “몸무게가 55kg인 성인을 기준으로 1주일간 내장을 포함한 낙지 2마리, 꽃게 3마리, 대게 반 마리를 평생 먹어도 위해하지 않은 수준’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글, 사진 : 김지민 어류 칼럼니스트                   
유튜브에서 ‘입질의추억tv’ 채널을 운영 중이다. 티스토리 및 네이버에서 블로그 ‘입질의 추억’을 운영하고 있으며, EBS1 <성난 물고기>, MBC <어영차바다야>를 비롯해 다수 방송에 출연했다. 2018년에는 한국 민속박물관이 주관한 한국의식주 생활사전을 집필했고 그의 단독 저서로는 <짜릿한 손맛, 낚시를 시작하다>, <우리 식탁 위의 수산물, 안전합니까?>, <꾼의 황금 레시피>가 있다.

 

정기구독자를 위한 즐겨찾기+

 

Posted by ★입질의추억★
:

카테고리

전체보기 (3980)
유튜브(입질의추억tv) (588)
수산물 (635)
조행기 (486)
낚시팁 (322)
꾼의 레시피 (238)
생활 정보 (743)
여행 (426)
월간지 칼럼 (484)
모집 공고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04-19 00:00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