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시장의 매력은 활어를 직접 골라 구입할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같은 가격이라면, 좀 더 살찌고 맛있는 광어를 고르고 싶은 마음이 누구나 있을 겁니다. 하지만 보는 눈이 없으니 천상 상인이 권하는 것으로 고르게 됩니다. 생태 좋은 활어를 골라주는 상인도 있지만, 그 반대인 경우도 있게 마련이겠죠. 그동안 활어 고르는 방법에 관해 글을 썼지만, 오늘은 광어 고르는 팁에 관해 한 발짝 더 나아가 볼까 합니다.   

 

 

알배기 광어

 

사진의 광어는 몸길이 85cm, 무게는 약 7~8kg에 달하는 자연산 대광어입니다. 작년 2월, 대마도에서 낚시로 잡았는데 제 글을 꾸준히 읽어오신 독자분들은 사진만으로 눈치챘으리라 봅니다. 한쪽 포를 뜨자 이렇게 알이 드러나는군요. 알의 생김새와 위치를 눈여겨 보셨다면 다음 사진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사진 1> 알을 완전히 분리한 모습

 

알을 완전히 꺼낸 모습입니다. 보시다시피 광어 알은 '사람 인(人)'자로 생겼습니다.

 

※ 포 뜨기(오로시)가 엉망인 건 양해 바랍니다. 저는 횟집 실무자가 아니고 글을 쓰는 사람이라서 아무래도 이 부분은 좀 미숙합니다. ^^;

 

 

다시 처음 사진으로 돌아와서 보면, 위쪽은 등이고, 아랫부분은 배 부분입니다. 알이 자리 잡은 부위는 광어 배 쪽이죠. 원래는 내장도 함께 있는데 지금은 빼 낸 상태입니다. 좀 전에 보셨듯 광어 알은 사람 人자를 닮은 좌우대칭형입니다.


 

 

보시다시피 알의 한쪽 면은 척추뼈를 기준으로 위쪽에 드러나 있으며, 다른 한쪽 면도 같은 자리에 있지만, 척추뺘 아래 쪽으로 접혀서 들어가 있습니다. 즉, 위 사진을 놓고 보았을 때 알을 품은 곳은 모두 배 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너무 당연한 사실을 어렵게 설명했나요. ^^;)

 

 

<사진 2> 광어 배가 불룩한 알배기 광어

 

알배기 광어는 언뜻 보아도 배 부분이 볼록함을 알 수 있습니다. 알로 가득 찼죠. 위 사진의 광어를 사람으로 비유하자면, 임신 말기에 해당합니다. 촬영 시기가 4월 중순이었으니 늦어도 5월 중에는 산란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렇게 알을 밴 광어는 알이 차지하는 무게가 상당합니다. 그랬을 때 벌어지는 현상은 무엇이 있을까요?

 

같은 2kg짜리 광어라도 그 무게가 알에 있는지 살에 있는지에 따라 우리가 회를 먹었을 때 느껴지는 맛과 식감이 다르며, 가격의 손실률 또한 따져봐야 합니다. 바닷물고기는 알을 '가득' 품었을 때 몸속 영양분이 알(난소)과 이리(정소)로 집중되므로, 살은 퍼석해지고 맛이 빠지게 마련입니다. 

 

산란을 마친 직후에는 배가 홀쭉해지고 살은 푸석하며 이 역시 맛이 빠져서 밍밍합니다. 이런 이유로 광어뿐 아니라, 다른 활어 횟감을 고를 때에도 배가 너무 불룩하거나 홀쭉한 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렇다면 광어가 알을 배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광어의 산란 시기는 양식과 자연산에 따라 다르고 서식지에 따라 다르지만, 대게 3~6월입니다. 위도에 따라서 차이가 있는데 대마도처럼 위도가 낮고 물이 따듯한 지역은 2~3월로 빠르고, 서해와 동해 북부 지역과 같이 물이 차갑고 수온이 늦게 오르는 지역일수록 산란기가 늦어지므로 5~6월, 심지어 7월에도 알배기 광어가 잡히기도 합니다. 

 

 

<사진 3> 등 쪽 지느러미살을 잡았을 때 두께 감이 느껴지는 광어가 좋은 광어다

 

위 사진은 3kg이 조금 안 되는 완도산 광어로 아직은 배에 알(혹은 정소)이 덜 찼습니다. 같은 시기에 촬영한 것인데도 광어는 산지와 양식장 그리고 개체에 따라 알을 완전히 밴 것도 있고, 덜 밴 것도 있으며, 사육 상태에 따라 살이 덜 찬 것도 있고, 두툼하게 찬 것도 있습니다.

 

<사진 3>의 광어는 일식집에서 횟감으로 쓰기에 품질이 양호한 상태입니다. 저렇게 등 쪽 지느러미를 잡았을 때 두께 감이 느껴지는 광어는 지느러미살(엔가와)과 살 사이의 공백이 적으므로 지느러미살을 온전히 빼내어 살리기 좋고, 전반적인 영양 상태 및 육량이 좋아 두께 감에서 오는 식감과 맛에서도 그렇지 못한 광어보다 월등히 낫습니다.

 

지금까지 설명한 내용은 업자가 물건을 직접 떼어갈 때 광어를 보는 안목 중 하나인데 사실 조금만 공부하면, 일반인도 얼마든지 좋은 활어를 고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많이 골라보고 또 먹어보는 것만큼 좋은 경험도 없겠지만, 이렇게 기본적인 내용을 알고 가는 것도 수산시장에서 활어를 고를 땐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기온이 부쩍 오르는 4월부터는 지역 축제가 많아지면서 본격적인 관광 성수기에 놓입니다. 이에 광어 같은 양식산 활어의 출하도 적극적으로 이뤄질 텐데요. 공교롭게도 광어나 참돔 등의 일부 어종은 이 시기에 산란과 겹치면서 수산시장에도 알배기가 많이 섞여 들어올 확률이 높습니다. 알 자체는 맛있고, 탕감으로 끓여 먹기 좋지만, 횟감용으로는 썩 좋지 못하니 이 내용을 잘 참고해서 같은 값, 같은 중량에 좀 더 좋은 광어를 골라 드시길 바랍니다.

 

<<더보기>>

관광 수산시장의 바가지 상술과 대처법(속초 중앙시장)

뼈째썰기(세꼬시) 생선회 문화의 덫

'호갱 탈출'을 돕는 수산물, 생선회 상식(탈고 수기)

노량진 수산시장 공략 팁! 활어회 바가지 안쓰고 사먹는 방법

필자의 책 소개 - 수산물을 건강하게 먹는 방법

 

정기구독자를 위한 즐겨찾기+

 
Posted by ★입질의추억★
:

카테고리

전체보기 (4087)
유튜브(입질의추억tv) (689)
수산물 (635)
수산물 생선회 상식 백과 (374)
도움되는 수산물 구별팁 (62)
바다 기생충 이야기 (28)
알고 먹는 참치회 (13)
현대판 자산어보 (82)
방사능이 미치는 영향 (10)
수산물의 불편한 진실 (65)
조행기 (486)
서해 (100)
남해 (156)
동해 (21)
제주도 (100)
해외 (109)
낚시팁 (322)
뉴스 (20)
릴 찌낚시 기초 (93)
감성돔 낚시 팁 (30)
벵에돔 낚시 팁 (27)
선상낚시 팁 (16)
원투, 생활낚시, 기타 어종 팁 (86)
포인트 정보 (33)
리뷰 (17)
꾼의 레시피 (238)
수산물, 생선 손질법 (39)
생선 요리 (92)
수산물 요리 (44)
소고기 및 육류 요리 (37)
기타 생활 요리 (26)
생활 정보 (744)
식당 비평 (219)
일상과 생각, 사진 (316)
방송, 강연, 인터뷰 (63)
본격 낚시만화 (65)
낚시 에세이 (34)
입질의 추억 모임 후일담 (19)
포토샵 사진 보정 (28)
여행 (426)
인도네시아 (15)
태국 (10)
베트남 (11)
몰디브 (15)
그리스 (45)
말레이시아 (22)
일본 나고야 (17)
겨울 캐나다 (31)
가을 캐나다 (60)
필리핀 세부 (19)
뉴칼레도니아 (55)
홍콩 (18)
호주 (8)
제주도 (58)
국내 (37)
월간지 칼럼 (484)
모집 공고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04-18 16:00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