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럭, 광어, 도미, 숭어, 농어, 전어 등등등. 우리가 먹고 있는 횟감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가장 손질이 까다로운 건 도다리. 그래서 도다리는 횟집 실장이나 일식집 사장에게도 손질이 까다로운 어종으로 꼽힙니다.

 

손질이 까다로운 이유 중 하나는 '껍질이 잘 안 벗겨진다는 점'. 가자미과 어종 중에는 껍질이 딱딱해 벗기는 기술이 좋아야 하는 것도 있습니다. (예 : 줄가자미) 또한, 같은 가자미과 어종이라도 산지에 따라 껍질 벗기는 난이도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봄 도다리쑥국 재료로 유명한 문치가자미의 경우 서해산이 남해산보다 껍질 벗기기가 조금 까다롭습니다. 시기상으로 차이는 있으나 3~4월에 잡히는 서해산 문치가자미는 살집이 조금 말라서 뻣뻣한 감이 있고 지방 함량의 차이로 의해 껍질을 벗길 때 살이 묻어나기도 합니다.

 

여기서는 반평생 도다리를 전문적으로 조업해 온 현직 어부에게 그 손질법을 배우고 소개할까 합니다. 이러한 도다리 손질법은 무척 생소할 것입니다. 하지만 익혀둘 수만 있다면 그 어느 손질법보다도 정말 강력하리라 생각합니다.  

 

 

도다리

 

위 어종은 표준명 도다리입니다. 방송에서는 연신 '도다리쑥국', '도다리 회'를 말하고 있지만, 이 어종이 사용되는 사례는 거의 찾아볼 수 없습니다. 쑥국은 문치가자미로 끓이고, 회는 양식산 강도다리가 독차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물량에서 현저히 달리는 도다리는 통영의 재래시장 등 산지에 가야 어쩌다 한 마리씩 구경할 수 있습니다. 여간해서는 횟집에서 만나기 어려운 '표준명 도다리'를 현직 어부가 회를 쳤습니다. 그 과정을 살펴보겠습니다.

 

 

사진의 도다리는 이미 아가미를 찔러 피를 뺀 상태입니다. 먼저 살아있는 도다리를 회 치기 위해선 스트레스를 받지 않도록 즉살해야 합니다. 즉살은 아가미 정중앙(심장이 위치)을 단칼에 찌른 후 그대로 칼집을 내어 대가리를 댕강 자릅니다.

 

 

이때 중요한 건 대가리를 완전히 자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사진에는 잘 안 나왔지만, 도다리를 쥔 손에는 여전히 대가리가 달려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내장을 긁어내 제거하고 흐르는 물에 한 번 씻어줍니다.

 

 

위 사진을 보면 여전히 대가리가 달려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대가리를 꽉 움켜지고 다른 한 손은 칼을 이용해 도다리 살점을 지지대 삼아 단단히 붙잡습니다. 


그런 다음 대가리를 잡아당기면 껍질이 그대로 벗겨집니다. 도다리는 그 종류와 어획 시기에 따라 살밥이 찬 정도가 다르고 지방 함량에도 차이를 보여 껍질이 잘 벗겨질 때가 있고 잘 안 벗겨질 때가 있는데 이 방법은 어느 쪽이든 껍질을 벗기기 수월한 방법이 되겠습니다.

 

 

이 사진, 생선 손질법에 관심 있는 이들에게는 환상적인 장면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대로 잡아 껍질을 벗기는데 보다시피 구석에 지느러미살이 약간 붙어 나온 것 외에는 매우 깨끗하게 벗겨지고 있습니다. 까다로운 도다리 손질법에서 이 정도면 아주 나이스한 편이지요. 여기까지가 유안부(등) 껍질을 벗기는 과정이었습니다. 다음은 무안부(배) 껍질을 벗기는 방법입니다.

 

 

등껍질을 벗긴 상태에서 꼬리자루에 칼집을 냅니다.

 

 

칼집을 내는 위치는 잘록한 꼬리보다 조금 윗부분에다 냅니다. 그리고 그 부위를 살짝 꺾어 준 다음.

 

 

뒤집습니다. 한 손으로는 여전히 꼬랑지를 잡고 있고 다른 한 손은 좀 전에 했던 것처럼 칼을 이용해 살을 잡아 단단히 고정했습니다. 이때 칼을 쥐는 파지법도 참고할 만한 부분입니다.

 

 

이 상태에서 꼬랑지를 잡아당겨 껍질을 벗깁니다. 그러려면 칼로 도다리 몸통을 단단히 붙잡아야겠지요.

 

 

도다리의 무안부(배) 껍질이 말끔하게 벗겨졌습니다.

 

 

자세히 보니 담기골살(지느러미살) 한 점이 붙어 나왔네요. 광어든 도다리든 이 부위가 가장 맛있는데 그냥 버리기에는 아까워 현장에서 낼름 뜯어 먹었습니다. ^^; 지금까지의 과정을 보고 뭔가 2% 부족하다고 느꼈다면, 좀 더 자세히 리바이벌 하겠습니다.

 

 

문치가자미

 

이번에는 문치가자미를 모델로 손질에 들어갑니다. 이제는 다들 아시겠지만, 우리가 '봄 도다리'하는 것은 대부분 문치가자미지요. 사진의 문치가자미는 이미 피를 뺀 상태지만, 여전히 숨이 붙어 있습니다. 이를 단칼에 즉살합니다. 대가리와 몸통을 잇는 목 부분에 칼집을 내고요.

 

 

마찬가지로 대가리를 완전히 분리하는 게 아닌 칼집만 깊숙이 낸다. 몸통에 남아 있는 내장은 긁어서 빼주고 칼끝을 이용해 껍질과 살의 접촉된 부분을 갈라줍니다. 이는 등껍질을 벗기기 위한 사전 작업으로 살과 껍질의 틈을 벌리게 함입니다. 위 사진은 그러한 동작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저 작업이 돼야.

 

 

이렇게 손으로 잡고

 

 

칼을 이용해 조금씩 틈을 벌려서

 

 

껍질을 벗길 수가 있겠지요. 여기까지 벌려놨다면 이후로는 천천히 잡아당겨 벗길 수 있습니다. 등 껍질이 대가리에 붙은 채로 나가떨어지겠지요. 

 

 

이제 무안부(배) 껍질을 벗겨야 하는데 그 전에 내장이 빠진 자리를 깔끔히 정리해 줍니다. 뭉친 혈도 칼로 긁어 제거하고요. 이물질이 붙어 있다면 그것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한 번 헹굽니다. (여기서는 헹구는 걸 생략)

 

 

어부다 보니 손질이 조금 터프합니다. 횟집이라면 한 점 한 점 살리기 위해 갈비뼈를 섬세히 발라냈을 텐데 횟감이 풍족한 뱃전에서는 이야기가 조금 다르겠지요. 방해가되는 거라면 가차 없이 잘라냅니다.

 

 

무안부(배) 껍질을 벗기는 작업은 좀 전과 동일합니다. 먼저 꼬리자루에 칼집을 내고 칼끝을 이용해 껍질과 살의 틈을 벌린 후.

 

 

뒤집어서 그대로 벗겨 냅니다. 살에다 칼 대는 건 여기까지.

 

 

손으로 잡을만한 자리가 만들어지면 칼을 놓고 양손으로 잡아당겨 껍질을 벗겨냅니다. 이 과정에서 지느러미살의 일부가 껍질에 묻어나기도 하지만, 속도 면에서는 가히 최고라 할 수 있습니다. 지느러미살이 껍질에 붙어 나오는 이유는 지방이 덜 찼기 때문입니다.

 

이때가 3월 말. 봄 도다리 시즌이 한창이지만, 사실 우리가 먹는 봄 도다리는 쑥국용으로는 적합하지만, 횟감으로 먹기에는 살밥이 모자랍니다. 이유는 산란 직후다 보니 살밥이 덜 찼으며 찌우는 과정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5~6월부터 본격적으로 살을 찌워 6~9월은 도다리든 문치가자미든 횟감으로 가장 맛있는 상태가 됩니다. 그러므로 3~4월에는 도다리쑥국을 드시고 맛있는 도다리 회를 먹고자 한다면 여름과 가을로 미루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했다면, 도다리 손질은 반 이상 한 겁니다. 키친타올 등을 이용해 살에 묻은 수분기를 닦아 줍니다. 지금까지의 과정을 정리하자면, 등 껍질은 대가리와 함께 잡아 벗기고 배 껍질은 꼬리지느러미와 함께 벗겨지는 식입니다.

 

 

도다리 내장

 

사진에 옥구슬같이 생긴 건 쓸개(담낭)주머니인데요. 생선을 손질할 때는 저 쓸개를 건드리지 않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 만약에 터지기라도 한다면 주변의 살로 스며들어 횟감을 망치게 되니까요.

 

 

알집

 

때는 3월 말로 산란 직후다 보니 알집이 홀쭉해져 있었습니다. 이 알집은 이 상태로 있다가 7~8월부터 알을 만들기 시작해 12~3월 사이 산란하게 됩니다.

 

 

포를 뜨는 과정은 광어 다섯 장 뜨기와 같습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어제 올린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관련 글 : 알아두면 유용한 광어 회 뜨는 법)

 

 

다섯 장 뜨기는 한가운데를 가르고 양옆으로 살을 발라내는 방법입니다. 발라낼 때는 칼끝이 뼈에 닿는 느낌을 지속해서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만큼 바짝 깎아야 손실을 줄이게 되니까요. 이렇게 포를 뜨면 등 부위에서 두 장, 배 부위에서 두 장, 총 네 장이 나옵니다. 뼈까지 더하면 다섯 장이 되겠지요. 그래서 다섯 장 뜨기라 부릅니다.

 

 

포를 발라내고 남은 뼈

 

간재미

 

사진은 간재미로 대체했지만, 도다리를 썰 때도 저렇게 길고 얇게 썰면 특유의 식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를 일식에서는 '이도쯔쿠리'. 우리말로는 '길게 썰기'라 부릅니다. 길게 썰기는 기본적으로 오징어와 한치, 갑오징어 등에 어울리지만, 늦가을 씨알이 커진 전어를 포 떠서 길게 썰어도 맛있습니다. 전어하면 보통 뼈째썰기(세꼬시)를 떠올리지만, 저는 10월 이후에 잡힌 떡전어 회를 길게 썰어 먹는 것을 으뜸으로 생각합니다.

 

 

탱글탱글한 도다리 회 완성

 

사실 사진으로 봐서는 도다리 손질법이 선뜻 와 닿지 않을 것입니다. 모름지기 직접 해봐야 알 수 있는 일. 그것이 생선 손질이니까요. 도다리를 일반인이 직접 손질해서 먹을 일은 없겠지만, 낚시꾼이라면 알아두었다 도다리를 손질할 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더보기>>

주꾸미 머리에서 나온 기생충에 아연실색? 꼭 참고하세요

주꾸미, 국내산과 중국산 구별법(싱싱한 쭈꾸미 고르는 법)

우럭에서 발견된 기생충에 충격, 주의하세요

고등어 기생충, 주부들이 꼭 알아야 할 사실

초간단 오징어 손질법(기생충 걱정없어요)


정기구독자를 위한 즐겨찾기+



Posted by ★입질의추억★
:

카테고리

전체보기 (4083)
유튜브(입질의추억tv) (685)
수산물 (635)
수산물 생선회 상식 백과 (374)
도움되는 수산물 구별팁 (62)
바다 기생충 이야기 (28)
알고 먹는 참치회 (13)
현대판 자산어보 (82)
방사능이 미치는 영향 (10)
수산물의 불편한 진실 (65)
조행기 (486)
서해 (100)
남해 (156)
동해 (21)
제주도 (100)
해외 (109)
낚시팁 (322)
뉴스 (20)
릴 찌낚시 기초 (93)
감성돔 낚시 팁 (30)
벵에돔 낚시 팁 (27)
선상낚시 팁 (16)
원투, 생활낚시, 기타 어종 팁 (86)
포인트 정보 (33)
리뷰 (17)
꾼의 레시피 (238)
수산물, 생선 손질법 (39)
생선 요리 (92)
수산물 요리 (44)
소고기 및 육류 요리 (37)
기타 생활 요리 (26)
생활 정보 (744)
식당 비평 (219)
일상과 생각, 사진 (316)
방송, 강연, 인터뷰 (63)
본격 낚시만화 (65)
낚시 에세이 (34)
입질의 추억 모임 후일담 (19)
포토샵 사진 보정 (28)
여행 (426)
인도네시아 (15)
태국 (10)
베트남 (11)
몰디브 (15)
그리스 (45)
말레이시아 (22)
일본 나고야 (17)
겨울 캐나다 (31)
가을 캐나다 (60)
필리핀 세부 (19)
뉴칼레도니아 (55)
홍콩 (18)
호주 (8)
제주도 (58)
국내 (37)
월간지 칼럼 (484)
모집 공고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04-04 00:00
Total :
Today : Yesterda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