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주꾸미 철이 한창이지만, 해마다 어획량은 줄고 있어 걱정입니다. 제가 평소 힘주어 목소리를 냈던 것 중 하나는 "씨를 말리는 음식 문화는 지양하는 것이 좋다."입니다. 여기에는 알배기 생선과 어린 치어를 뼈째 썰어 먹는 세꼬시 문화가 포함됩니다. 주꾸미의 어획량은 2010년 이후 줄곧 내리막길을 걸었습니다.

 

가장 큰 원인은 무분별한 남획에 있습니다. 가을에는 낚시로 잡아들이고, 봄에는 알배기를 잡아들입니다. 이 주꾸미를 잡는 데는 크기도, 기한도, 어획량도 제한이 없습니다. 여기에 알배기 주꾸미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기호도 한몫했습니다. 국산이 귀하니 수입산이 많이 들어올 수밖에 없는데 문제는 원산지를 속이는 행위입니다. 

 

국산 주꾸미는 중국산보다 좀 더 비쌉니다. 이점을 이용해 중국산을 국산과 섞어서 팔거나 아예 원산지를 둔갑하는 경우도 더러 있지만, 이를 구별하지 못하는 소비자는 속수무책 당할 수밖에 없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원산지별 구별법에 관해 짚어보도록 합니다.

 

 

<사진 1> 국산 주꾸미와 중국산 주꾸미의 비교

 

<사진 2> 국산 주꾸미의 특징은 보호색을 이루는 세포 조직인 갈색 반점이 뚜렷하다

 

<사진 3> 중국산 주꾸미의 특징은 보호색을 이루는 세포 조직인 갈색 반점이 흐리거나 잘 나타나지 않으며, 상처(까진 부분)가 도드라진다

 

<사진 4> 활 주꾸미의 경우 국산과 중국산이 담긴 물색에 주목

 

<사진 5> 동남아산 (태국, 베트남) 주꾸미

 

#. 국산 주꾸미의 특징

- 크기는 중국산보다 대체로 작은 편이나, 간혹 큰 것도 있어 크기로만 구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 중국산보다 활력이 좋아 움직임이 기민하고, 주위 환경(조도 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 같은 이유로 보호색을 띠는 세포 조직이 활발하게 움직이므로 머리에 갈색 반점이 선명하다. <사진 2> 참고

- 갈색 반점이 선명하므로 전반적인 채색은 중국산보다 어둡게 나타난다. <사진 1>의 (a) 참고

- 주꾸미 몸통에 나타나는 금테(<사진 1>의 b)는 원산지와 상관없이 나타나는 특징이다. 

- 금테(금색의 링 모양)는 원산지를 가르는 기준은 될 수 없지만, 신선도에 따라 흐려지므로 선도를 가늠하는 척도이다.

- 국산 활 주꾸미는 먹물을 많이 뿜기 때문에 통에 든 물색이 검다. <사진 4>참고

- 시장에서 국산 표기 없이 판매되는 것은 중국산이나 동남아산으로 간주해도 무리가 없다.


     

#. 중국산 주꾸미의 특징

- 기본적으로 국산 주꾸미와 같은 종, 같은 서해에서 잡힌 것이다.

- 크기는 국산보다 대체로 큰 편이다.

- 유통 거리가 멀어 활력이 다소 둔화한 상태이며, 주위 환경에 보호색을 맞추는 기능이 둔화해 있다.

- 같은 이유로 보호색을 띠는 세포 조직이 둔화해 머리에 갈색 반점이 흐리거나 잘 나타나지 않는다. <사진 2> 참고

- 반점이 흐리거나 없으므로 전반적인 채색은 국산보다 밝게 나타난다. <사진 1>의 (a) 참고 

- 중국산 주꾸미도 신선한 것이라면, 국산 주꾸미에 나타나는 링 모양의 금테가 있다.

- 중국산 활 주꾸미는 유통 과정에서 먹물을 대부분 뿜어 통에 든 물색이 검지 않다. 그래서 안에 든 주꾸미가 다 비친다. <사진 4>참고

 

#. 동남아산 (태국, 베트남) 주꾸미의 특징

예전에는 냉동으로 들어왔으나 몇 년 전부터는 생물로도 수입되고 있다.

- 냉동일 경우 매대에 올려진 주꾸미는 대부분 해동 중이여서 손을 대면 매우 차갑다.

- 채색이 밝으며 다소 창백한 기운이 느껴진다.

- 보호색 세포 조직인 갈색 반점이 완전히 사라지고 없다.

- 금테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 먹물이 거의 들어있지 않다.

 

국산과 중국산 주꾸미의 경우 같은 서해에서 잡은 것이니 구별에 의미가 없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간혹 있는데 이 같은 인식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같은 바다에서 잡혀도 어선의 국적이 다르다면, 결국 우리가 살 때 주꾸미의 가격이 달라지고 선도와 상태, 맛까지 모두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과 중국 어선의 조업 방식이 다르고, 이에 주꾸미에 상처를 입히는 정도가 달라집니다. 

 

유통 거리와 처리 과정에 따라 선도와 맛에서도 차이가 나며, 무엇보다도 가격에서 차이가 나기 때문에 원산지에 의미를 둘 수밖에 없습니다. 수산물에 대한 신뢰 회복은 원산지를 명확히 적시하고 파는 투명성에서부터 비롯됩니다. 서천 주꾸미 축제는 이번 주말(4월 8~9일)까지 이어집니다.

 

산지에서도 국산 주꾸미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중국산을 국산으로 둔갑해서 판매한 전례가 있는 만큼, 이 자료가 주꾸미 원산지를 구별하는 데 참고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더보기>>

불맛 나는 주꾸미 볶음 레시피

오징어 먹다가 깜짝, 기생충일까? 우릴 헷갈리게 하는 사례들

뼈째썰기(세꼬시) 생선회 문화의 덫

수산시장 광어 고르는 팁, 알배기 광어를 피해야 하는 이유

봄 식탁의 완성, 냉이 새조개 샤브샤브 만들기

 

정기구독자를 위한 즐겨찾기+

 
Posted by ★입질의추억★
:

카테고리

전체보기 (4086)
유튜브(입질의추억tv) (688)
수산물 (635)
수산물 생선회 상식 백과 (374)
도움되는 수산물 구별팁 (62)
바다 기생충 이야기 (28)
알고 먹는 참치회 (13)
현대판 자산어보 (82)
방사능이 미치는 영향 (10)
수산물의 불편한 진실 (65)
조행기 (486)
서해 (100)
남해 (156)
동해 (21)
제주도 (100)
해외 (109)
낚시팁 (322)
뉴스 (20)
릴 찌낚시 기초 (93)
감성돔 낚시 팁 (30)
벵에돔 낚시 팁 (27)
선상낚시 팁 (16)
원투, 생활낚시, 기타 어종 팁 (86)
포인트 정보 (33)
리뷰 (17)
꾼의 레시피 (238)
수산물, 생선 손질법 (39)
생선 요리 (92)
수산물 요리 (44)
소고기 및 육류 요리 (37)
기타 생활 요리 (26)
생활 정보 (744)
식당 비평 (219)
일상과 생각, 사진 (316)
방송, 강연, 인터뷰 (63)
본격 낚시만화 (65)
낚시 에세이 (34)
입질의 추억 모임 후일담 (19)
포토샵 사진 보정 (28)
여행 (426)
인도네시아 (15)
태국 (10)
베트남 (11)
몰디브 (15)
그리스 (45)
말레이시아 (22)
일본 나고야 (17)
겨울 캐나다 (31)
가을 캐나다 (60)
필리핀 세부 (19)
뉴칼레도니아 (55)
홍콩 (18)
호주 (8)
제주도 (58)
국내 (37)
월간지 칼럼 (484)
모집 공고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04-13 01:30
Total :
Today : Yesterday :